yeoni hideout/Shape your Body

[스크랩] 천연장미의 활용

princess7 2011. 5. 11. 01:27

장미 어디 까지 활용 가능한가

 

정열의 붉은색 로맨틱한 향기...아마도 보편적으로 장미꽃 하면 떠올릴 이미지 이리라

이렇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장미가 인류의 문화 속에서 재배 되고 사용 되었던 흔적은

고대 이집트, 황하,메소포타미아등 인간 문명의 근원지 였던 지역에서 흔적이 전해지기도

하며 학자들 사이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 이전에 시작 되었을 것으로 벽화를 통해 추정 하고 있다

 

또한 장미의 원산지를 알수 있는 정확한 장미 원종의 수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 하지만

장미속의 Rosa는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가 원산지로 125여 종이 있고 이중에 95종은 아시아,

18종은 아메리카, 나머지는 유럽종이며 한국에는 찔레, 돌가시나무, 해당화, 붉은인가목등이 있다.

그중에 원예종으로 개발될 수 있었던 원종은 50∼60종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장미 품종은 크게 하이브리드 티계, 프로리 반다계, 랜드스케이프계, 미니어추어계,

덩굴장미계로 나뉜다

 

 

페르시아산 원종 장미 Rose.foetida 

 

장미는 일찍이 향료나 식용으로 쓰이다가 후에 관상용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고

현대 에서는 매년 5월 14일 로즈데이가 생겨나 연이들 끼리 사랑을 확인 하는

이벤트 용품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알게 모르게 깊은 역사와 전통을 가진 장미를 생활 속에서 직접 경험 하게

된다면 우리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좋은 소재가 될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옛사람들은 장미를 어떻게 이용했을까? 흥미삼아 알아 보도록 하자.

 - [참조] 창해 ABC북 No.42 장미 [지은이] 자크 바로. 필리프 봉뒤엘. 앙드레 에브

 

그리스 신화
그리스의 신들은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불로불사의 영약 이라고 말하는 'Elixir'를
마셨기 때문이라고 한다. 만드는 방법은 사랑의 여신 만이 알고 있다고 하는데 그 사랑의 여신이
가장 좋아했던 꽃이 장미이었기 때문에 Elixir 은 장미 꽃잎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믿었다.

 

고대 인도
인도 북부 카슈미르 지방에서는 지금도 매년 장미가 처음 필 때마다 장미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 에서는 청년들과 처녀들이 군중에게 장미꽃을 던진다.
인도에서는 장미가 최초의 어머니이자 신의 상징으로 간주되고 있다.

 

고대 페르시아
장미를 마시면 좋아하는 사람과 절대 헤어지지 않는다고 고대 페르시아인들은 믿고 있었다.
병사가 전쟁에 출전하기 전이나 긴 여행을 떠나기 전엔 사랑하는 사람, 연인, 또는
아내와 함께 장미 음료를 마셨고 그리하면 반드시 무사히 돌아온다고 믿었다고 한다.

 

고대 로마
고대 로마인들은 매우 장미를 좋아하였다.
그들은 장미와 늘 함께 하며 행복감을 느꼈고 매년 5얼과 6월에는 장미 축제를 열어 풍성한
음식을 곁들인 향연을 베풀었다.
장미 축제가 열릴 때 로마인들은 죽은 자를 기리리 위해서 무덤을 장미꽃으로 덮었는데,
이런 관습 속에서 장미는 재생의 상징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인들에게 백장미 화관은 여성의 미덕의 상징이었다. 결혼식을 올리는 신부의 화관과
수련 수녀가 베일을 드리우고 종신서원을 할 때 쓰는 화관이 그 예이다.

 

고대 사람들은 장미를 장식용 뿐만 아니라 먹고 마셨다는 것이 흥미롭다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장미 들은 대부분 절화 하여 관상용으로 쓰는 것인데

고대 시대 때의 기록을 보면 장미가 식품이나 주류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고 한다.

현재에도 중국에서는 식용장미를 재배 하고 신년에 장미 튀김을 먹기도 한다.

 

  

-[참고] KBS-1TV ‘식탁에 꽃 피다’ 방영 내용 중

 

항산화물질에 속하는 안토시아닌 색소는 장미, 블루베리 등 각종 과일의 색채를 결정하는

식물색소의 일종이다

결국 장미는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는데 항산화력이란 우리 몸 속의 세포가 호흡을 통한

신진대사 과정에서 부산물로 남기는 활성산소를 제어하는 힘을 말한다

활성산소는 외부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유익한 기능도 있으나 지나치면 신체내의 단백질과 지방,

유전자 등과 결합해 이를 해롭게 번성 시킨다

즉 단백질은 파괴되고 지방은 과산화 지질이 되어 노화가 촉진되고, 유전자는 돌연변이를 일으켜

때로는 각종 암을 유발 시키기도 하는데 이것을 조절 해주는 것이다

 

이것을 보면 고대 사람들은 건강 하게 장수 하기 위해서 장미를 먹은 것이나 다름 없다

고대 그리스 신화의 불로불사는 터무니 없는 이야기 겠지만 적어도 장수 식품 이라는 의미는 통한다

그렇다면 맛은 어떨까? 그리고 식품은 적어도 맛이나 향, 질감등 미각을 만족할 최소한의

요건이 있어야 되는데 중국, 불가리아, 터키, 프랑스등지에서 재배되는 식용장미는 요리나

가공식품등으로 사용 되면서 상당히 호평을 받고 있다

 

생활속에서 식재료로서의 장미

1.꽃잎 원형

가장 원초적인 사용법은 식용장미 꽃잎 자체를 사용 하는것인데 꽃잎은 화전같은 전,부침에

올려 먹을수 있고, 토핑으로 팥빙수, 아이스크림, 제과류 등에 쓰면 예쁜 외관과

신선한 맛을 살리는 좋은 재료가 된다

장미꽃잎은 화채로도 먹을수 있는데 설탕물에 담아서 하루정도 숙성해낸 국물에 꽃잎을 띄워 쓴다

또한 장미꽃 봉오리나 꽃잎을 80도 정도 물에 우려 내면 풍미가 훌륭한 장미차가 되고

알콜이나 주류등에 꽃잎을 일정기간 우려내면 장미술이 된다

 

2.장미추출액

장미를 식품에서 사용은 추출한 액체를 사용 하는 방법이 가장 보관하기 좋고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한다

실제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는 젊음과 미모를 유지 하기 위해 장미를 즐겨 마셨다고 한다

또 한국 사람들은 특히 진한 액체 식품을 선호 하므로 장미추출액은 시중에 찾아 보면 구할수 있다

집에서 즙을 내서 추출액을 사용하는 경우 공기와 만나서 산화 되는것에 주의 해서 밀봉해서 보관 하거나

즙을 낸 후 곧 바고 사용 하는 것이 좋다

 

일단 추출액은 원료가 좋아야 한다, 식용 이기 때문에 장미를 재배 할때 농약이나 화학적인 재료가

첨가 되지 않아야 하고 추출시 성분 파괴가 적어야 몸에 유익한 장미의 효능을 보존 할 수 있다

특히 저온으로 뽑아낸 장미추출액에는 장미의 천연향과 색소가 보존 되어 있어서 다른 음식과

잘 어울리고 가공에도 상당히 용이하다

물에 희석해서 꿀이나 감미료를 섞으면 장미음료수가 되고 식초에 섞으면 장미식초가 되고

설탕의 농도를 짙게 하면 장미시럽이 되는데 이것을 아이스크림 위에 팥핑수 위에 올리면

장미향과 함께 미적으로도 좋을 것이다

장미도 과일 처럼 소주나 막걸리 맥주 등에 적당량 섞어서 먹으면 향기롭고 감미로운 맛이 나기

때문에 칵테일 만으로도 편리하게 장미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다.

 

3.장미잼

또한 고대인들도 장미잼을 먹었는데, 장미를 매우 끊여서 장미꽃잎 자체의 섬유질과 설탕의 당분을

이용해서 잼으로 만들어 먹어도 되고 장미추출액에 응고력이 좋은 한천가루를 이용한다면 천연 장미향이

나는 장미잼이 된다, 이것들은 일반 과일잼과 같이 빵이나 쿠키등에 먹으면 좋다

전자의 꽃잎을 삶아서 섬유질을 이용하는 방법인 경우 가정에서도 일반잼을 만들듯이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온으로 인하 향과 성분파괴가 단점이다.

장미꽃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실제 삶으면 안토시아닌 색소를 나타내는 붉은색이 변해서

갈색이 되고 특유의 향이 사라져 푸성귀 냄세가 되어 버리는 것을 주의하자

후자인 한천을 이용 하는 방법은 저온추출한 엑기스를 사용한다면 향과 색이 살아있는

장미잼을 구현할 수 있지만 한천가루를 젤리화 하는 요령이 필요하기에 가정에서 제작에는

번거러움이 있다

 

지금 까지 내용들이 어떤 분들에게는 장미를 먹는 다는 것이 색다른 발상으로 보일수도 있으나 

앞서 서술한 장미의 활용은 새로운 것을 시도한것 이라기 보다는 고대로 부터 황실 이나 왕족들이 

식용 했던 장미라는 고전적인 식재료를 우리 일상과



출처 : *** 아름다운 사람 하나 ***
글쓴이 : princes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