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ando salí de la Habana válgame Dios
Nadie me ha visto salir si no fui yo
Y una linda guachinanga válgame Dios
Que se vino detrás de mí, que se señor
Si a tu ventana llega una paloma
Trátala con cariño que es mi persona
Cuéntale tus amores bien de mi vida
Corónala de flores que es cosa mía
Ay chinita que sí
Ay que dame tu amor
Ay que vente conmigo chinita
A donde vivo
Si a tu ventana llega una paloma
Trátala con cariño que es mi persona
Cuéntale tus amores bien de mi vida
Corónala de flores que es cosa mía
Ay chinita que sí
Ay que dame tu amor
Ay que vente conmigo chinita
A donde vivo yo
Que sí que sí, que no que no
Cuando esa que le no que lo yo
Que sí que sí, que no que no
Cuando esa que le no que lo yo
배를 타고 하바나를 떠날때
나의 마음 슬퍼 눈물이 흘렀네
사랑 하는 친구 어디를 갔느냐
바다 너머 저편 멀고 먼 나라로
천사와 같은 비둘기 오는 편에
전하여 주게 그리운 나의 마음
외로운 때면 너의 창에 서서
어여쁜 너의 노래를 불러주게
아 치니타여 사랑스러운 너 함께 가리니
내게로 오라 꿈꾸는 나라로 아 치니타여
사랑스러운 너 함께 가리니
내게로 오라 꿈꾸는 나라로....
La Paloma / Sebastian Yradier ( Spain 作曲家 )
1830년대 Yradier(이라디에르)가 Cuba를 旅行 하던중 Habanera(하바네라- 4분의 2박자 템포가 느린 쿠바
댄스)의 춤곡에 매료되어 여행중 이곡을 작곡했으며 귀국 한후 유럽에 소개했다. 그후 이르헨티나의 탱고를
탄생시키는 계기를 가져왔다. Cuba의 Habana 항구에서 떠나는 배를 背景으로 비둘기에 실려보낸 섬아가
씨의 純情을 노래 하며 항구를 떠나는 연인에 대한 연정을 표현하고 있다. 매우 이색적인 Habanera풍의
반주가 유럽에 유행하면서 1875년 파리에서 초연된 <비제>의 마지막 오페라이자 최고의 걸작인[카르멘]
제1막에서 이 히바나풍의 리듬이 차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내 머릿속의 지우개-정우성 손예진주연]
엔딩에서 빅마마의 신연아가 불렀다 |